역사문화탐방 B코스

본문 바로가기
서브비주얼 이미지

역사문화탐방 B코스

  • HOME
  • 역사문화탐방코스
  • 역사문화탐방 B코스

역사문화탐방 B코스

  • HOME
  • 역사문화탐방코스
  • 역사문화탐방 B코스
  • 충현원 _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210 위치보기
    배고픔과 전쟁의 고통 속에서 생명들을 품은 지 50년, 수 많은 어린아이들이 이곳에서 희망을 꿈꾸며 미래를 나아갈 수 있는 보금자리였다. 고 박순이 선생이 1949년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우월순(Wilson) 선교사 사택에서 45명의 고아들을 보호하는데서 출발하였다.
  • 사직공원 _ 광주광역시 남구 사직길 49 위치보기
    꼬불꼬불 이어지는 숲길을 따라 산책하는 묘미도 괜찮은 곳이다. 사직공원에서 바라보는 무등산의 해돋이는 특히 장관이다.
  • 광주천 _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24-22 위치보기
    광주천은 광주의 역사이다. 양림산과 광주평원의 모습도 이 강이 만들어주었다. 양림천에서 조탄보에 이르는 광주천의 물길은 광주민들을 먹여 살리는 젖줄이다. 양림다리의 해질녁 낭만적인 풍경을 만들어내던 유럽풍 가로등의 모습은 이제는 사라져버렸다. 지금은 새롭게 단장되고 있다.
  • 양파정 _ 광주광역시 천변좌로 751 위치보기
    무등산의 능선을 마주한 이 정자는 강물이 언덕을 휘감아 돌며 물결을 일으키는 모습에서 버들양, 물결파를 취하여 양파정이라하였다. 온양정씨 양파 정낙교가 고려말 광주 천의 강 가운데 건축되어 홍수를 다스린 석서정을 추억하며 건축되었다.
  • 최승효 가옥 _ 광주광역시 남구 양촌길 29-4 위치보기
    1920년대에 건립한 정면 8칸, 측면 4칸의 대규모 전통가옥으로, 특히 연등 천장인 대청을 제외하고는 다락을 둔 구조이다. 일제시대에는 이 다락에 독립 운동가들을 숨겨둔 것으로 유명하다. 무등산의 절경과 마주하고있다.
  • 이장우 가옥 _ 광주광역시 남구 양촌길 21 위치보기
    1899년에 건축된 전통 한옥이며 ㄱ자형 대문간, 문간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곳 언덕 아래에 있는 양림천에서는 물이 흐르고 멀리 정면에서 보이는 무등산과 어울려 한 폭의 풍광으로서 손색이 없다.
  • 광주 정공엄지려 _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157-11 위치보기
    조선시대 유명한 효자 정엄선생의 효행을 기리는 유적이다. 정려각 내에는 충견석상인 개비도 함께 자리하고 있다.
  • 오웬 기념각 _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70번길 6 위치보기
    1914년 배유지 목사와 함께 전남 최초의 선교사로 광주에서 활동하다 순교한 오기원(또는 오원)과 그의 할아버지를 기념하여 지어졌다. 기독간호대 안에 있는 이 기념관은 문화예술, 교육시설 등으로 활용되었다.
  • 3.1운동 발상지 _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287-48 위치보기
    광주의 만세운동은 3월 1일 주모자 최흥종이 서울서 체포되자 김철을 중심으로 남궁혁 가옥에서 교인들과 비밀독서모임회원들이 모여 거사를 계획. 3월 10일 만세 물결은 광주 작은 장터를 휩쓸고 서문통과 법원 앞을 지나 경찰서까지 이르렀다. 유혈진압 끝에 100여명이 체포되고 북문안의 교회당은 몰수되었다.
  • 정율성 가옥 _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78-3 위치보기
    광주 양림동에서 태어나 중국 베이징에서 그 생을 마감한 작곡가 정율성. 중국에서의 항일 투쟁과 뛰어난 음악으로 중국 최고의 작곡가가 된 정율성은 평생을 두고 양림동을 그리워했다. 아직도 양림동 그의 생가엔 해 마다 빨갛게 석류꽃이 핀다. 그 향기속에서 정율성이 작곡한 무수한 음악들의 선율들이 중첩되어 우리의 영혼을 흔든다.

관련사이트

  • 광주광역시
  • 광주문화재단
  • 호남신학대학교
  • 아름다운가게
  •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전라도닷컴
  • 대동문화재단
  • 광주MBC
  • 광주광역시 남구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