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림동 유래

본문 바로가기
서브비주얼 이미지

양림동 유래

  • HOME
  • 역사문화
  • 양림동 유래

양림동 유래

  • HOME
  • 역사문화
  • 양림동 유래

양림동의 유래

마을 이름인 양림은 버드나무가 많은 곳이라 양림(楊林)이라 했다고 전한다.

양림은 본래의 의미는 버드름에서 시작되었다. 버드름이란 산 능선이 밖으로 뻗어나간 것을 의미한다. 곧 [뻗다(延)+으름(접사)]로 구성된 말이다.
양림산에서 시작된 산 능선이 양파정 능선으로 이어져 광주천에 닿은 모습이 바로 버드름이다. 이 버드름을 한자말에서 취하였는데 버드는
[버드=버들=왕버드나무=楊]으로 표기하고 름은 발음이 비슷한[름=림=林]을 취하여 양림이라 한 것이다. 양(楊)이나 류(柳)는 대개 지명에서 버드나무가 아닌
뻗어나간 산버등을 의미한다.

양림동(楊林洞)은 사직산과 양림산(楊林山,109m)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동남사면에 자리잡은 전통 주거지역이다.

1904년 미국 남장로교 유진벨(배유지), 오웬(오원)등 선교사들이 들어와 교회와 수피아여학교 및 그라함 병원(현 기독병원)을 개설되어 세칭 서양촌으로 불려졌다.
동남쪽에서 북서쪽으로 곧장 흐르는, 광주천의 남서쪽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광주천을 경계로 학동과 금동과 구분된다.
동남쪽으로는 방림동 원방림마을 및 샘터마을, 대남로와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수피아여중고 서편으로 백운1동, 백운2동과 인접하고 있다.
북쪽으로 호남신학대학이 있는 양림산 정상에서 양파정이 있는 쪽으로 능선을 만들어 광주천변까지 가로막아 자연스럽게 사동과 구분된다.
극동은 학강 초등학교 동편 585번 건물 동쪽 광주천 중간부분이다. 극서는 수피아 여중고과 백운 2동 248번 건물과 경계지점이다.
극남은 명성2길에 있는34번 건물 남쪽으로 대남로와 접하고 있다. 극북은 양림2길 입구 천변좌로 건너편 광주천 중간 부분이다.

동명의 유래는 양림마을의 이름을 취하여 양림동이라 하였으며 관할구역은 양림동 전지역으로 1통 - 22통 113반이다. 이중 1-16통 지역을 신사(新社)라 부른다.
신사라 한 이유는 근처에 새로운 사직단이 만들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연마을로는 갱변, 뒷동산, 흙구댕이마을이 있었다.

양림동 유래

양림동의 동세

이 동은 광주 선교의 전초기지 역할을 하였던 곳이고 이를 이어 광주양림(예장개혁), 광주양림(예장통합), 양림(기장), 명성교회, 침례교선교회 등 대형교회가
다수 있으며 수피아여중고, 기독간호대학, 호남신학대학교, 기독병원 등이 소재하고 있어 기독교촌으로서 특색을 띠고 있다. 한편으로는 학강초등학교,
수피아여중고, 기독간호대학, 호남신학대학교와 사직도서관이 자리하고 있어 교육기관이 밀집되어 있으며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학교 밀도가 높은 편이다.

오늘날 광주천을 건너면 광주도심지역과 연결된 곳이지만 일제시대까지도 이곳은 시골 냄새가 짙게 풍기는 동네였다. 인구도 성글어 일제말엽까지 양림동에는
1천 5백명 정도가 사는 정도였다. 다소 이채로운 현상이라면 비록 수는 적지만 서양인들이 다른 동네에 비해 많이 살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역사는 멀리 한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말에 양림동에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들어와 살면서 '광주의 예루살렘' 혹은 '서양촌'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와 함께 기독교 관련 학교가 설립되었고,
그 영향으로 지금도 학교 이외에 병원과 교회가 몰려있다. 주민들 가운데서도 기독교 신자들이 많은 것도 이때문이다.

도심과 인접해 있으면서도 그동안 경전선 철도로 인한 소음과 낡고 오래된 가옥으로 주거환경이 악화되었다. 이 가운데 학강초등학교에서 기독병원에 이르는
4만여평은 양림동의 대표적인 달동네로 손꼽혀 왔는데, 향후 재개발사업에 의해 아파트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라고 한다.

동명 양림동 인구 남 3,435 행정조직 통 16 상수도보급률 100%
면적 0.61 인구 여 3,396 행정조직 반 51 동직원현황 6
6,831 세대수 2,476 주택보급률 2,499

관련사이트

  • 광주광역시
  • 광주문화재단
  • 호남신학대학교
  • 아름다운가게
  •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전라도닷컴
  • 대동문화재단
  • 광주MBC
  • 광주광역시 남구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원